티스토리 뷰
책을 읽게된 계기
플랫폼 사업에 관심이 생겨 '플랫폼 기업전략'을 읽고, 관련 주제의 책을 더 읽어 보고 싶어졌다.
플랫폼이란 무엇이고 어떤 플랫폼이 좋은 플랫폼일까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책을 읽으면서 중점을 둔 사항
1. 플랫폼 기업전략과의 관점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2. 그래서 작가가 생각하는 플랫폼이란?
3. 좋은 플랫폼은 무엇일까?
4. 플랫폼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책 내용 요약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생산자와 소비자라는 두개의 시장을 연결하는 사업모델 = 양면시장 플랫폼
플랫폼 사업 모델의 핵심요소
1. 양면구조의 비지니스 모델
2. 두 시장을 연결해줄 도구
3. 플랫폼 운영 원칙
성공한 플랫폼 분석
구글
누구를 연결하는가?
정보 생산자 <---> 정보 이용자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가?
인터넷 검색엔진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가?
지식의 공유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
소비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
-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 하는 것
어떻게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킬까?
소비자 -> 차별화된 검색엔진 알고리즘을 통한 검색기능의 높은 정확성
생산자 ->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 대가를 받음 by 에드센스
페이스북
누구를 연결하는가?
1) 사람 <---> 사람 (인적 네트워크)
2) 미디어 콘텐츠 생산자 <---> 미디어 콘텐츠 이용자
cf) 싸이월드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가?
미디어 업로드, 친구추가, 뉴스피드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가?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소식을 듣는 것
- 사람들의 관심을 아는 것
- 그들에게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 하는 것
어떻게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킬까?
소비자 ->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소식, 정보를 얻음
생산자 -> 자신의 미디어에 관심을 가질만한 사람들에게 접근
아마존
누구를 연결하는가?
제품 생산자 <---> 제품 구매자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가?
제품 정보 제공, 제품 검색, 제품 구매, 제품 보관, 제품 배송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가?
소비자가 신뢰 할 수 있는 구매
- 제품 가격에 대한 신뢰= 아마존에서는 적어도 바가지를 쓸일은 없다.
- 제품 품질에 대한 신뢰
- 구매부터 배송까지의 경험 = 간편함, 안전성, 신속성
어떻게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킬까?
소비자 -> 신뢰 할 수 있는 구매 경험
생산자 -> 더 다양한 더 많은 소비자에게 접근 + 상품 보관 및 배송에 대한 책임 X
iOS & 안드로이드
누구를 연결하는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산자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가?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기본기능,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원칙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가?
iOS = 차원이 다른 모바일 고객경험
안드로이드 = 모바일 컨텐츠에 대한 더 많은 선택과 경쟁
어떻게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족시킬까?
소비자 -> 신뢰 할 수 있는 구매 경험
생산자 -> 더 다양한 더 많은 소비자에게 접근 + 상품 보관 및 배송에 대한 책임 X
플랫폼은 어떻게 만들까?
플랫폼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내용
1. 가치설계
1) 추구가치
- 내가 돕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
- 내가 플랫폼을 통해 그들에게 제공하고 싶은 가치는 무엇인가?
2) 수익가치
-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어떤 이득을 얻을 수 있는가?
- 소비자가 얻는 이득은 무엇인가?
- 생산자가 얻는 이득은 무엇인가?
기술 설계 | 가치 설계 | |
양면시장 정의 | - 사용자 정의 - 생산자, 소비자 정의 |
- 내가 추구하는 가치 - 생산자가 얻는 가치 - 소비자가 얻는 가치 |
플랫폼 도구 찾기 | - 플랫폼의 사용 효익 정의 - 기술적 가능성 |
|
운영원칙 수립 | - 거래중 발생가능 위험 파악 - 위험 관리 방안 마련 |
|
개방전략 수립 | - 서비스 관리 영역 - 관리 수준 설정 |
2. 기술설계
1) 양면시장 정의 하기
- 시장 참여자는 누구인가? (플랫폼의 잠재적 이용고객)
- 생산자는 누구인가?
- 소비자는 누구인가?
2) 플랫폼 도구 찾기
- 생산자와 소비자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 플랫폼 도구는 거래비용을 줄이는가?
- 플랫폼 도구는 생산사 또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가?
- 실현 가능한가?
3) 운영원칙 수립
- 잠재적인 위험은 무엇인가?
-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4) 개방전략 수립
- 무엇을 관리할 것인가?
- 어느 수준까지 관리할 것인가?
책을 읽고 나서 느낀점 or 정리할 사항
- 책의 저자가 '양면시장'을 언급한 것처럼 플랫폼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비지니스 모델이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 이 책의 저자는 플랫폼의 기능적 측면을 좀더 주의깊게 바라보았다. 하지만 나는 역시나 플랫폼을 만들기 전에 확실히 해야하는 부분은 내가 누구를 돕고 싶은지, 어떤 사항을 타개하고 싶은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몇가지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점은 있었지만, '플랫폼 기업전략' 에서 나오는 개념을 이 책에도 적용 할 수 있었다.
끝.
'자기 개발 > 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러커의 마케팅 인사이트를 읽고 (0) | 2021.08.09 |
---|---|
챗바퀴 도는 인생을 바꾸고 싶은가요? - 미라클 모닝 (0) | 2021.04.28 |
플랫폼 시리즈(1) - 플랫폼 기업전략을 읽고 (0) | 2021.04.01 |
<This is Marketing, Seth Godin> , 이것이 마케팅이다! (0) | 2021.03.26 |
게으름을 '관찰'한다 - 진짜 게으른 사람이 쓴 게으름 탈출법을 읽고 (0) | 2021.03.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진크롤링
- 가격데이터
- 비전공자
- 강화학습
- 심리학
- 일자별
- beautifulsoup
- 시스템투자
- 스타트업
- 크롤링
- Anet
- 터틀트레이딩
- requests
- 파이썬
- 경영학
- C#
- 주식투자
- It
- IT기초
- 프로그래머스
- ET5X
- 마케팅
- Unity
- 주식
- 랜덤맵
- 유니티
- 머신러닝
- PYTHON
- json
-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