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입금시, 만약, 급여가 500만원이면 아래와 같이 지급하면 된다.사업소득의 경우실제 지급액은 5,000,000 (1-0.033) = 4,835,000원세액 165,000 기타소득의 경우실제 지급액은 5,000,000 (1-0.088) = 4,560,000원세액 440,000원 원천세 신고 방법 (HomeTax) Step1. 원천세 신고 메뉴세금신고 > 원천세신고 > 일반신고 Step2. 원천세신고 기본정보입력사업자번호(주민번호) 옆에 있는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내용을 확인한다(중요) 소득종류를 기타소득 or 사업소득을 선택한다 저장후 다음버튼 클릭한다 Step3. 원천세신고 기본정보입력 총지급액 입력 소득세 입력 사업소득일 경우 = 총지급액 x 3.3%기타소득일 경우 = 총지급액 x 8.8%..
플랫폼사업을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운 고민중 하나는 수요(소비)쪽 User를 우선 확보해야하는가 아니면 공급(판매)쪽 User를 먼저 확보해야 하는가이다.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양질의 판매자와 판매제품이 flatform에 있어야하고, 공급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많은 소비자가 flatform을 이용하고 있어야 한다. 아무런 레퍼런스가 없을때 유저들이 어떤 app을 찾 벌어지는 이러한 문제를 "The Cold Start Problem"이라고 하는데, 사실 Cold Start란 초기 data가 없는 상태에서 추천시스템이 적절히 동작하지 않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Introduction : Why the Network Effect so important to Startups? 네트워크 효과가 스타트업에게..
when we found a 'problem' we need to figure out the problem is a real problem then what is real problem?? real problem is most fundamental cause real problem is something can be measure real probem is something can be solved to measure whether the problem is real I suggest to answer follow questions 1. Is it most fundamental cause? - the outcome can not be the cause - if there are more fundament..
성공한 분들은 다 이유가 있다. 오늘도 많은 것들을 깨닫는 것 같다. https://youtu.be/uPhHPO98M84 이 영상을 보고 깨달은 것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내가 만들고 싶은 것과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다르다. - 그러니까 혼자 머리싸매고 고민해봤자, 이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하고 관찰하자. 2. 인내와 끈기 - 나는 매일 17시간 이상, 몇년을 한가지일에 몰두 할 수 있을까? -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을까? - 지금의 나의 생활을 바꾸어야 한다. 화이팅 :)
33살 백수가 되었다. 창업을 하고 싶다고 말만 하면서, 경력핑계로 몇년을 허비한 느낌이다. (그렇다고 경력을 ㅋㅋ 제데로 쌓은 것도 아니고) 영상 하나를 보았다. https://youtu.be/DafmZ6i09ck 내가 좋아하는 유튜브 체널 EO의 김태용대표 이야기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창업을 했으나 실패후 28살에 실리콘벨리로 감!! 2. 공항에서 급하게 찍은 영상을 한인 커뮤니티에 올려서 2명과 인연이 되었고 >> 지인소개를 통해 실리콘벨리 한인 분들의 인터뷰 시작! 3. 실리콘벨리의 진정한 저력 '문화'를 경험 - 실패의 용인이 아니라 장려 : 오 실패 많이 했네 ㅋ 그 다음엔 뭐할꺼야? 4. 그렇게 시작된 'EO' 5. 170명정도 인터뷰를 하면서 느낀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 ..
오늘 EO에서 영상을 하나 보게 되었다. https://youtu.be/9qN86ooMTuo 하아.. ㅋㅋㅋ세상은 넓고 정말 멋진분들이 많이 계시는것 같다. 이 영상을 보면서 인상깊었던 내용은 김동호 대표님이 창업을 준비하면서 '문제를 찾아나가는 방식' 이었다. 우선 요즘 뜨고있는, 예를들면 '우후죽순' 창업회사들이 생기고 있는, 분야에 대해 조사를 한다. (전반적 리서치) 그리고 다른 비교군(다른 나라, 다른 시장) 비교를해서 차이가 나는부분을 깊게 파고든다. (문제상황 발견) 결정적으로 어떤 원인이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분석한다. (문제상황의 원인 분석) 그리고 그 문제원인에서 가장 임팩트가 있을 부분을 찾는다. (Key factor 찾기) 그리고 그러한 핵심적인 원인을 해결 할 수 있는/ 혹..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타트업
- 경영학
- 크롤링
- 사진크롤링
- 터틀트레이딩
- IT기초
- 알고리즘
- 심리학
- 프로그래머스
- requests
- 일자별
- json
- 비전공자
- 머신러닝
- PYTHON
- It
- 주식
- 마케팅
- 주식투자
- 시스템투자
- beautifulsoup
- 가격데이터
- 랜덤맵
- 파이썬
- Anet
- C#
- Unity
- 유니티
- ET5X
- 강화학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