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켈리의 공변모형을 이해해보자.
켈리의 공변모형은 어떤사람의 행동의 원인이
1) 개인적 특성 때문인지 (내부 귀인)
2) 아니면 환경적 요인 때문인지 (외부 귀인)
알기 위해 고안된 판단 기준이다.
첫째, 합의성(consensus)은 행동과 행위자의 공변, 즉 여러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많은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할 경우에는 합의성이 높고,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의성이 낮다.
둘째, 특이성(distinctiveness)은 행동과 자극(상황)의 공변, 즉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이다. 행위자가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즉 다른 상황에서도) 같은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낮고, 한 특정 자극에만(즉 한 종류의 상황에서만) 그 행동을 한다면 특이성이 높다.
셋째, 일관성(consistency)은 행동과 시간의 공변, 즉 비슷한 상황에서 항상 같은 행동을 하는지의 여부를 뜻한다. 행위자가 항상 같은 행동을 한다면 일관성이 높고, 다른 때에는 그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일관성이 낮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변 모형 [covariation model]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참 쉽지 않기때문에, 공변모형을 이해하기 위해
오늘은 "신입 사원 빙그래씨"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보고자 한다.
당신은 어느 중견기업의 팀장이 라고 하자,
얼마전 당신의 팀에 한 신입사원이 들어왔다. 이름은 "빙그래"
첫 출근날, 빙그래씨는 지각을 하고 말았다.
당신은 화가났다. 어떻게 출근 첫날에 지각을 할 수 있냐며 그를 다그치자
빙그래씨는 억울한 표정을 지으며, 오늘 늦은 것은 지하철 사고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다음과 같이 판단을 해야 한다.
1) 빙그래씨가 게으름을 피우다 지각을 한 것인지, (내적 귀인)
2) 아니면 정말로 지하철 사고가 지각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인지 (외적 귀인)
이때 켈리의 공변 모형 등판!
당신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합의성 or 일치성(consensus) 이라고 하는 개념이다.
만약,
빙그래씨가 지각한 바로 그날 다른 팀원들 혹은 회사 전체 사람들이 무더기로 지각을 했다면 (합의성이 높은 상황)
=> 빙그래씨가 게을렀다기 보다는 정말 지하철 사고가 나서 지각을 한 것(외적 귀인)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날 지각한 것이 회사 전체에서 빙그래씨 오직 한명이었다면 (합의성이 낮은 상황)
=> 지하철 사고 보다는 그냥 빙그래씨가 게을러서(내적 귀인) 지각을 한것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빙그래씨에게는 다행히
그날 많은 직원들이 지각을 하였고, 지하철 사고에 대한 뉴스도 대대적으로 보도되어
빙그래씨가 지각한 것은 위부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그렇게 하루 일과가 끝나고, 빙그래씨 환영회 겸 팀 회식이 있었다.
근 1년 넘게 코로나19로 인해 회식이 없었기 때문에, 빙그래씨에게는 입사 후 첫회식이었다.
회식 분위기는 좋았다. 빙그래씨가 당신의 재미없는 아재개그에 빵빵 웃음을 터뜨리며
'너무 재미있다며' 리액션을 해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신은 아래와 같은 생각이 들었다.
1) 빙그래씨는 정말 웃음이 많고 리액션이 좋은 사람일까?
2) 아니면, 오늘 지각한 것 때문에 점수 따려고 오바하는 걸까?
이때 다시 캘리의 공변모형 등판!!
당신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바로 일관성(consistency) 이다!!
만약,
빙그래 씨가 그 후에도 동일하게 아재 개그에 대한 좋은 리액션을 보여준다면 (일관성이 높은 상황)
=> 그것은 빙그래씨가 리액션이 좋은 사람 (내적 귀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날 이후 빙그래씨의 좋은 리액션을 볼 수 없었다면 (일관성이 낮은 상황)
=> 그것은 빙그래씨의 성격이라기 보다는 지각을 했던 상황 (외적 귀인) 때문에 리액션이 좋았다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렇게 당신은 1차 회식 까지만 참석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꽤 많은 일이 있었던 하루였다.
당신은 당황하고 말았다. 집에 돌아와 보니
아내가 너무나 다정한 목소리로 웃으며 반겨주는 것이 아닌가??
그 상황을 보자마자 당신은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
1) 오늘도 우리 아내는 웃는 얼굴이 예쁘군!
2) 큰일났다!
사실 우리는 자연스럽게 2번의 결론을 얻을 수 있는데,
캘리의 공변모형중 특이성(distinctiveness) 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아내분께서 언제나 웃음이 많고 평소에도 남편분에게 다정하기 이야기를 한다면 (특이성이 낮은 상황)
=> 그것은 원래 아내분의 성격이기 때문에 (내부 귀인) 남편분이 위화감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 그렇게 때문에 남편분은 아내분께서 갑자기 태도를 변화시킨 무엇인가(외부 귀인)를 찾아야 하는 급박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끝.
'금융 >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사업을 위한 마케팅 이야기_(1) (0) | 2025.01.11 |
---|---|
[경영학, 심리학] 친구 고민엔 전문가지만, 내 고민은 해결 못하는 이유 _정교화가능성 모델 (0) | 2022.08.04 |
경영학기본 - "라면끓이기로 본"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1분정리 (0) | 2020.06.11 |
[경영학] 어떤 리더가 좋은 리더일까?_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0) | 2020.06.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 랜덤맵
- C#
- 심리학
- It
- 강화학습
- 알고리즘
- 경영학
- 사진크롤링
- requests
- PYTHON
- IT기초
- 일자별
- Unity
- 터틀트레이딩
- 주식투자
- 마케팅
- 머신러닝
- 주식
- Anet
- 비전공자
- beautifulsoup
- 스타트업
- ET5X
- json
- 유니티
- 크롤링
- 가격데이터
- 시스템투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