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2016년 1월 1일은 금요일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무슨 요일일까요? 두 수 a ,b를 입력받아 2016년 a월 b일이 무슨 요일인지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요일의 이름은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각각 SUN,MON,TUE,WED,THU,FRI,SAT 입니다. 예를 들어 a=5, b=24라면 5월 24일은 화요일이므로 문자열 TUE를 반환하세요. 제한 조건 2016년은 윤년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실제로 있는 날입니다. (13월 26일이나 2월 45일같은 날짜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시 a b result 5 24 TUE 나의 답안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 var day = 0; const weeks..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YupG/btqEC7UuOEU/9QRftheofPYcif7czEQsrK/img.jpg)
'재귀' 란? 자신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재참조'하는 방법 재귀 알고리즘 정의: 함수를 정의할때 해당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하는 방법 장점: 함수가 간단하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단점: 효율성이 좋지 못하다. 주의할점: 무한반복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종결지점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문제(피보나치 수열) 인자로 0 또는 양의 정수인 x 가 주어질 때, Fibonacci 순열의 해당 값을 구하여 반환하는 함수 solution() 을 완성하세요. Fibonacci 순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F0 = 0 F1 = 1 Fn = Fn - 1 + Fn - 2, n >= 2 문제풀이(1) - 재귀적 방법 def solution(x): answer = 0 if x == 0: answer = 0 elif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QfqH/btqEBQfaSjD/ArnCikWbuwydzW2RSdgAL0/img.png)
오늘 배울 내용 선형탐색 vs 이진탐색 이진탐색의 방법 이진탐색 문제 및 풀이 선형탐색 : 리스트의 항목을 하나씩 살펴본다. 이진탐색 : 처음과 끝의 중간값을 목표와 비교하며 찾는 범위를 줄여나간다. 이진법 문제 리스트 L 과, 그 안에서 찾으려 하는 원소 x 가 인자로 주어질 때, x 와 같은 값을 가지는 원소의 인덱스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 을 완성하세요. 만약 리스트 L 안에 x 와 같은 값을 가지는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 을 리턴합니다. (가정) 리스트 L 은 자연수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 순으로 정렬되어 있음 동일한 원소는 두 번 이상 나타나지 않음 나의 문제 풀이 def solution(L, x): answer = 0 low = 0 upp = len(L)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2b3L/btqECMCkPx5/u84hS5aYjcyNUcH79HP8Kk/img.jpg)
해당문제의 출처는 https://programmers.co.kr/ 의 어서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처음이지? 강의임을 알려드립니다. 문제1 입력으로 주어지는 리스트 x 의 첫 원소와 마지막 원소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 을 완성하세요. 나의 풀이1 def solution(x): length = len(x) first = x[0] last = x[length-1] answer = first + last return answer ※ pop()함수를 쓰지 않은 이유 = 원래 리스트의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해서 문제2 리스트 L 과 정수 x 가 인자로 주어질 때, 리스트 내의 올바른 위치에 x 를 삽입하여 그 결과 리스트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 을 완성하세요. (가정) 인자로 주어지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KX7K/btqEAD6lojA/tbCvxdjhxq5PuMHUWk7Vt1/img.jpg)
오늘 배울 내용 1. GET방식으로 서버 접근할 때, data 입력하기 30초만에 구글 사진 크롤링 코드 import requests import urllib.request import urllib.error from urllib.error import URLError, HTTPError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세션만들기 s=requests.session() #서버에 접근 url = "https://www.google.co.kr/search?q=%EA%B7%80%EC%97%AC%EC%9A%B4%EB%8F%99%EB%AC%BC&tbm=isch&ved=2ahUKEwiUg7fUz-LpAhUEHKYKHZF7BloQ2-cCegQIABAA&oq=%EA%B7%80%EC%97%AC%EC..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wOWK/btqEzAB9xKm/NOinXjT8UDRBJzcPyw1au0/img.png)
다룰 내용 1. 사진 크롤링을 위한 기본 모듈 및 라이브러리 소개 2. 사이트 접속 및 검색어 입력 3. 원하는 데이터 추출 5. 예외 컨트롤 4. 해당 데이터 저장 오늘 배울 개념 1. "30초만에 신문기사 크롤링하기"와 동일 2. try/ except 오늘 크롤링할 사진 STEP 1 크롤링을 위한 모듈과 라이브러리를 불러온다. import requests import urllib.request import urllib.error from urllib.error import URLError, HTTPError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request = python에서 HTTP요청을 서버로 보내고(request) 그 대답(respnse)을 객체로 받아올 수 있는 모듈 Beau..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zQNQ/btqEwRkC8iV/2YeLWoBKJJzVUV6hraDy8k/img.png)
오늘 다룰 내용 1. 크롤링을 위한 기본 모듈 및 라이브러리 소개 2. 사이트 접속하기 3. 원하는 데이터 추출하기 오늘 배울 개념 1. HTML 태그와 속성 2. 웹브라우저에서 '개발자 창' 띄우기 2. 세션(Seesion)의 의미 오늘 크롤링해볼 기사는 STEP 1 데이터 크롤링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request 모듈 BeautifulSoup 패키지 등을 불러온다.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request = python에서 HTTP요청을 서버로 보내고(request) 그 대답(respnse)을 객체로 받아올 수 있는 모듈 BeautifulSoup : HTML문서 또는 XML문서에서 특정 내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python 패키지 ST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ClW3/btqEn9yjThV/K50znjXYL1Ooo9c3bTlfik/img.jpg)
var/ const/ let의 차이점 (global-Scope일 경우) var는 중복선언이 가능/ const, let은 중복선언이 불가능 (local-Scope일 경우) var는 Function-Scope/ const, let은 Block-Scope이다. var/ const/ let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개념 Scope의 개념과 각 Scope( Global/ Local/ Functional/ Block)의 차이점 변수(variable)의 활용 과정과 중복선언의 의미 스코프(Scope)란? 스코프(Scope)란 "변수를 확인 가능한 범위" 이다. Global Scope는 파일 내에서 어디서나 확인 가능하다. (접근 가능하다) //함수 밖에서 변수 생성 + 선언 var a = 1; const..
- Total
- Today
- Yesterday
- requests
- 마케팅
- 비전공자
- 유니티
- 머신러닝
- 주식투자
- 강화학습
- 알고리즘
- 랜덤맵
- 가격데이터
- 시스템투자
- 크롤링
- 사진크롤링
- 터틀트레이딩
- Anet
- IT기초
- 프로그래머스
- C#
- 파이썬
- ET5X
- 일자별
- json
- It
- 심리학
- Unity
- 주식
- beautifulsoup
- 경영학
- 스타트업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