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CSS가 무엇인가요?

  • HTML은 웹사이트의 뼈대(구조)를 만드는 언어입니다.
  • CSS는 그 웹사이트의 **모양(디자인)**을 꾸며주는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옷(HTML)을 입혔을 때, 그 옷의 색깔·무늬·스타일(CSS)을 정해주는 것과 비슷해요.

정리하자면:

HTML = 뼈대 만들기
CSS = 예쁘게 꾸미기

 

참고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_web_development/Core/Styling_basics

 

CSS 구성 블록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이 강의에서는 CSS 첫 번째 단계 가 중단된 부분을 처리합니다 — 이제 언어와 구문에 익숙해졌으며, 약간 더 깊이 익힐 때가 되었을 때, 이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경험을 얻었습니다. 이 과목에서

developer.mozilla.org

 


2. CSS 선택자(selector)란 무엇일까요?

웹사이트(HTML) 안에는 여러 가지 요소(예: 제목, 글, 그림 등)가 있어요.
이 중에서 "어떤 것을 꾸밀지" 알려주는 것이 **CSS 선택자(selector)**랍니다.

참고서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_web_development/Core/Styling_basics/Basic_selectors

 

CSS 선택자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CSS 에서, 선택자는 스타일을 지정할 웹 페이지의 HTML 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데 사용됩니다. 사용 가능한 다양한 CSS 선택자가 있으며, 스타일을 지정할 요소를 선택할 때 세밀한 정밀도를 허용합

developer.mozilla.org

 

● 대표적인 선택자

  1. 태그 선택자(tag selector)
    • HTML의 태그 이름을 그대로 써서 선택해요.
    • 예: body, h1, p 등
    • p { color: red; } 라고 쓰면, 페이지에 있는 모든 <p> 글자들을 빨간색으로 바꿉니다.
  2. 클래스 선택자(class selector)
    • 비슷한 역할을 하는 여러 요소들을 한꺼번에 꾸밀 때 사용해요.
    • HTML에서 class="fruit"라고 적으면, CSS에서 .fruit로 꾸밀 수 있어요.
    • 예: .fruit { color: orange; }
  3. 아이디 선택자(id selector) => 잘 안씀
    • 하나의 요소를 특별하게 지정할 때 사용해요.
    • HTML에서 id="banana"라고 적으면, CSS에서 #banana로 꾸밀 수 있어요.
    • 예: #banana { color: yellow; }
#태그 선택자(tag selector)
h1 {
  color: blue;
}

#클래스 선택자(class selector)
.special {
  color: blue;
}

3. CSS가 HTML에 적용되는 로직(방법)은?

어떻게 CSS로 꾸민다고 HTML이 알아들을까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1. HTML 안에 직접 쓰는 방법 (Inline 또는 내부 스타일)
    • HTML 파일 안에 <style></style> 태그를 넣어 그 안에 CSS를 써요.
    • 또는 태그 자체에 style=""을 써서 꾸밀 수도 있지만, 아주 간단한 경우에만 사용해요.
    • <style> p { color: red; } </style>
  2. CSS 파일을 따로 만들어서 연결하기 (외부 스타일)
    • 따로 만든 style.css 파일을 불러와서 꾸밀 수 있어요.
    • 웹사이트가 커지면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해요.
  3. <head>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head>

4. CSS 레이아웃(Layout) 개념 이해하기

웹페이지 안에서 글, 그림, 버튼 등이 어떻게 배치되는지 정하는 것을 레이아웃이라고 해요.

● 가장 기본이 되는 속성: display

  • display: block; : 박스처럼 줄을 차지해요. 다음 요소는 줄바꿈되어 아래로 내려갑니다.
  • display: inline; : 글자처럼 옆으로 이어서 배치돼요.
  • display: flex; : 안에 있는 요소들을 가로 혹은 세로로 쉽게 정렬하고 배치할 수 있어요.
  • display: grid; : 격자 형태(가로·세로 칸)를 만들 수 있어요.

예시:

.container {
  display: flex;  /*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한 줄에 쭉 나란히 배치 */
  justify-content: center;  /* 가운데 정렬 */
}

5. CSS의 스타일링을 위한 주요 속성들과 단위

이제 실제로 꾸밀 때 자주 쓰는 속성들을 알아볼까요?

● 글자 관련

  • color: 글자 색깔을 정해요. (예: color: blue;)
  • font-size: 글자 크기를 정해요. (예: font-size: 16px;)
  • font-weight: 글자의 굵기를 정해요. (예: font-weight: bold;)

● 배경 관련

  • background-color: 요소(박스)의 배경 색깔을 정해요. (예: background-color: yellow;)
  • background-image: 배경에 이미지를 넣어요. (예: background-image: url('banana.png');)

● 위치·여백 관련

  • margin: 박스 밖의 여백(바깥쪽 공간)을 정해요. (예: margin: 10px;)
  • padding: 박스 안의 여백(안쪽 공간)을 정해요. (예: padding: 10px;)
  • border: 테두리(두께, 모양, 색)를 정해요. (예: border: 2px solid green;)

● 크기 조절

  • width: 가로 길이를 정해요. (예: width: 200px;)
  • height: 세로 길이를 정해요. (예: height: 100px;)

● 자주 쓰는 단위

  • px: 픽셀이라는 컴퓨터 화면의 작은 점 단위. 숫자가 클수록 크기가 커져요.
  • %: 부모 요소(바깥 박스) 크기에 비례하여 퍼센트로 크기를 정해요.
  • em: 현재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비율을 정해요. (조금 더 깊이 있는 내용이지만, 기억만 해둬요)
  • rem: HTML 최상위 글자 크기를 기준으로 비율을 정해요.

정리 & 마무리

  1. CSS는 웹사이트를 예쁘게 꾸며주는 언어입니다.
  2. **선택자(selector)**를 이용해 "어떤 요소를 꾸밀지" 정합니다.
  3. HTMLCSS를 연결해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4. 레이아웃은 웹페이지에서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는지 정하는 방법입니다.
  5. 주요 속성들을 잘 외워두면 CSS로 여러 가지 멋진 디자인을 만들 수 있어요.
  6. **단위(px, %, em, rem)**를 알면, 화면 크기에 맞춰서 자연스럽게 요소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요.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