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영
[경영학] 어떤 리더가 좋은 리더일까?_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KS짱짱맨
2020. 6. 10. 21:21
리더십 이론은 리더십의 유효성을 어떻게 늘릴 수 있을지 연구한 분야다.
리더십 이론은 4가지 정도로 크게 구분된다.
- 특성이론: 리더십의 유효성은 리더 개인의 특징(ex 카리스마, 외모, 성격 등)에 따라 달라진다.
- 행동이론: 리더십의 유효성은 리더의 특정한 행동에 의해 좌우된다
- 상황이론: 상황에 맞는 리더십이 발휘될때 리더십의 유효성은 커진다.
- 관계이론: 리더십 유효성은 리더와 추종자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오늘 배울것
- 피들러의 상황이론 개요
- 피들러의 상황이론 의의
피들러의 상황이론 개요
- 피들러의 주장
- 리더십의 유효성(집단의 성과에 대한)은 "리더십의 스타일"과 "상황"의 적합성에 좌우된다.
- 리더십스타일 종류
- 과업지향: 업무가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큼
- 관계지향: 업무와 인간관계는 별도라고 생각하는 성향이 강함
- 리더십스타일 평가방법
- 리더에게 "가장 일하기 어려웠던 사람"을 떠올리며 설문지를 작성하게함
- 설문지 점수가 높으면 (즉, 업무가 힘들었던 사람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좋으면) = 관계지향
- 설문지 점수가 낮으면 (즉, 업무가 힘들었던 사람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나쁘면) = 과업지향
- 상황변수의 종류
- 리더-구성원간의 관계 = 리더와 구성원간의 사이가 좋은 정도
- 과업구조 = 업무가 어려운 정도
- 리더의 직위 권력 = 리더의 권한이 강한 정도
결론
1. 상황이 호의적이거나, 비호의적일때는 과업지향적 리더쉽
2. 상황이 중간정도일때 관계지향적 리더십
의의
- 최초의 상황이론, 기존의 개인적 수준의 리더십을 상황과의 관계로 영역을 확장시킴
- 다양한 리더십 연구에 도화선이 됨
비판
- 리더십의 성향을 측정하는 LPL의 과학적 근거가 없음
- 리더의 성향을 이분화하여, 두성향이 공존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평가 불가능
728x90